최근열람장표 top bottom Recently viewed top

인기검색어

내가 찾은 검색어

관련사이트 사이트맵 ENGLISH
~
카테고리
정렬방법
 

교육통계

국제통계

조사명 : UOE 국제교육통계조사 (UOE : UNESCO/OECD/Eurostat)

통계종류 : 해당사항 없음

조사근거

  • 『교육부 교육정보통계관리규정』(2014. 3. 24. 개정, 교육부훈령 제51호)
  •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에 관한 협약(1996.12.12, 조약 제1358호)

조사목적

  • 교육 통계 및 관련 지표의 국제적 수요와 협력 요구에 부응하고,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교육통계를 제공 및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국제적 위상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
  • 국제교육협력을 통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국제적 위치를 확인하고,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교육의 체제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음으로써 교육경쟁력 제고

조사기준 : 1년

조사내용

교육통계 테이블
장표명세부내용항목
ENRL

ENRL1A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학교유형별, 성별 학생 수

ENRL1B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학교유형별, 성별 학생 수

ENRL2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전일제/시간제 학생 수

ENRL3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시간제 학생 수 

ENRL4
  • 중등/고등교육 : 전공별, 성별 학생 수

ENRL5
  • 고등교육 : 전공별, 성별 학생 수

ENRL6
  • 고등교육 : 출신 국가별 국제이동 학생 수

ENRL7
  • 초중등교육: 학년별, 성별 유급자 수

ENRL8
  • 초중등교육 : 연령별, 학년별, 성별 학생 수

ENRL9
  • 초중등/중등후 비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성인교육 학생 수

ENTR ENTR1
  • 후기중등/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입학생 수 

ENTR2
  • 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국제이동 입학생 수

ENTR3
  • 후기중등/고등교육 : 전공별, 성별 입학생 수

ENTR4
  • 초등/전기중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1학년 입학생 수 

GRAD GRAD1
  • 초중등/고등교육 : 학교유형별, 성별 졸업생 수

GRAD2
  • 후기중등/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졸업생 수

GRAD3
  • 후기중등/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, 최초 졸업생 수

GRAD4
  • 고등교육 : 연령별, 성별 국제이동 졸업생 수, 국제이동 최초 졸업생 수

GRAD5
  • 후기중등/고등교육 : 교육분야별, 성별 졸업생 수

GRAD6
  • 고등교육 : 교육분야별, 성별 국제이동 졸업생 수

GRAD7
  • 고등교육 : 출신국가별, 성별 국제이동 졸업생 수

PERS

PERS1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교육단계별, 교육과정별, 학교유형별, 교육강도별 학생 수

PERS2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학교유형별, 교육강도별, 성별 교원 수

PERS3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교육단계별, 교육과정별, 성별, 연령별 교원 수

PERS4

  • 유초중등교육 : 교육단계별 관리직원 및 보조교사 수

FINANCE

FIN_STUDENTS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학교유형별 학생 수

FIN1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교육단계별, 재원별, 교육기관별 교육지출

FIN2

  • 유초중등/고등교육 : 교육기관별, 성질별, 교육단계별 교육지출

CLASS Class1
  • 초등/전기중등교육 : 학교유형별, 교육단계별 학급 수

DEM DEM1
  • 전체 인구 연령별, 성별 총 인구

조사체계

  • 간접조사 : 교육통계연구센터 DB자료 추출 및 국제교육통계조사 장표 작성 및 제출 (9~12월) : 인구, 입학자 수, 졸업자 수, 교원 수, 학생 수 등
  • 직접조사 : 교육재정 조사 (6~10월) : 학교→교육청→KEDI(유초중등), 학교→KEDI(국공립고등교육기관),
    외부기관 (사학진흥재단, 공무원연금관리공단 등)→KEDI

공표주기 : 1년

연락처 : 한국교육개발원 교육조사통계연구본부 교육통계연구센터 통계분석·서비스팀
(전화: 043-530-9620, 이메일:service@kedi.re.kr)

  • 본 서비스로 생성되는 정보는 논리적 해석의 차이로 인하여 일부 교육통계연보와는 일치되지 않는 값이 있을 수 있
    습니다. 생성된 정보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요하거나 100%의 신뢰도를 요하는 중요사안에 대해서는 자료요청 메뉴
    를 이용하시거나 교육통계시스템 운영팀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본 서비스는 요구하는 정보가 복잡한 연산을 필요로 할 경우 최대 몇 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다소
    느리게 느껴지실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.

자료요청 서비스 바로가기